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장기 정전 대비 3일 생존 시뮬레이션 – 실제처럼 계획해보기

by 코콩다섯 2025. 7. 25.
반응형

 

우리는 늘 '설마 그렇게까지 되겠어?'라고 생각하며 하루를 살아가지만, 실제로 정전은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. 특히 3일 이상 이어지는 장기 정전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생존의 문제로 이어지죠.

오늘은 ‘만약 우리 집에 정전이 3일간 지속된다면?’이라는 가정을 실제처럼 설정해보고, 하루하루 어떤 루틴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 장기 정전 생존 시뮬레이션을 함께 짜보려 합니다. 단순히 무섭고 긴장되는 것이 아니라, 이 기회에 가족과 나의 삶을 돌아보고, 작은 준비로 큰 안심을 만들어보는 시간이 되면 좋겠어요.

💡 시나리오 설정: 3일간의 장기 정전

상황: 폭우와 강풍으로 인한 송전선 파괴. 전 지역 정전 상태. 통신은 간헐적으로만 가능. 수도는 유지되나 압력이 낮음. 외부 출입은 위험한 상황.

가정 조건:

  • 중년 부부 또는 가족 3~4인
  • 아파트 또는 단독주택
  • 기초적인 생존용품은 일부 구비되어 있음

📅 Day 1 – “정전이 시작되었다”

오전 9시 – 전기 차단 인식

  • 핸드폰, 인터넷, TV 모두 먹통. 처음에는 짧은 정전이라 생각하고 대기.
  • 냉장고 문은 열지 않음. 냉기 유지를 위해 6~8시간 봉쇄!

오전 11시 – 상황 인지 및 대응 시작

  • 휴대용 라디오로 뉴스 청취 시도, 간헐적 수신 성공.
  • 모든 충전기기(보조배터리, 태양광 충전기 등) 사용 점검.
  • 음식과 물 점검 – 물은 생수 2L × 6병 보유. 쌀과 통조림, 라면 확인.

오후 1시 – 간단한 점심

  • 휴대용 가스버너로 밥 짓기. 즉석 국과 참치캔 활용.
  • 식사 후 재사용 가능한 식기와 물 절약을 위한 닦아내기 루틴 시작.

오후 4시 – 집안 정비 및 비상 루틴 설정

  • 창가 근처에 좌식 독서·휴식 공간 마련. 자연광 최대 활용.
  • 화장실 간이 처리 용품 준비 (물 부족 대비).

밤 8시 – 조용한 아날로그 밤

  • 촛불 또는 랜턴 아래 가족끼리 일기쓰기, 이야기 나누기.
  • 핸드폰 사용 최소화. 전기 없이도 따뜻한 루틴 구성.

📅 Day 2 – “진짜 위기는 오늘부터”

아침 7시 – 냉장고 해동 시작

  • 이제는 냉기가 사라진 냉장고 속 식재료부터 사용. 육류, 유제품 우선 조리.
  • 냉동실 음식은 쿨러에 옮겨 신문지, 아이스팩 등으로 보냉 시도.

오전 10시 – 물 절약과 세척 대책

  • 대야에 물 받아두기, 헹굼수 재사용.
  • 식초수와 베이킹소다 활용한 손 세척, 주방 정리.

오후 1시 – 에너지 최소 소비 식단

  • 물만 부으면 되는 즉석밥, 통조림류 중심으로 구성.
  • 온 식사 한 끼, 차가운 간편식 한 끼 – 하루 두 끼 전략.

오후 4시 – 가족 심리 안정 루틴

  • 아날로그 감정일기, 손글씨 교환, 차분한 음악(라디오) 듣기
  • 아이와 함께 감정 카드 놀이, 짧은 명상 시도

밤 9시 – 야간 보온 대책

  • 온열 패드 대신 핫팩 + 이불 레이어드.
  • 물주머니에 뜨거운 물 넣고 수건으로 감싸 배 근처 배치.

📅 Day 3 – “희망을 잃지 않기”

아침 8시 – 남은 물과 식량 점검

  • 남은 생수 2L × 2, 가스버너 연료 여유분 1개
  • 가족에게 역할 분담 – 물 담당, 정리 담당, 분위기 담당

오전 11시 – 상황 체크 및 메시지 작성

  • 핸드폰 배터리를 모아 1~2회 수신 가능 시도
  • 밖으로 보낼 구호 메시지 정리, 위치 공유

오후 2시 – 지친 몸과 마음 관리

  • 간단한 스트레칭, 발 지압, 가족끼리 등 두드려주기
  • 걱정보다 감사 찾기 – 오늘 내가 누릴 수 있는 것 목록 적어보기

밤 7시 – 촛불 아래 감사의 식사

  • 3일을 무사히 버틴 나 자신과 가족에게 따뜻한 한마디
  • 오늘 먹을 수 있음에 감사하고, 함께 있음에 안도하는 시간

🌿 장기 정전 생존 키트 다시 정리해보기

  • 생수 2L × 6~8병
  • 라면, 즉석밥, 통조림, 견과류
  • 휴대용 가스버너 + 부탄가스 여유분
  • 보조배터리, 태양광 충전기
  • 랜턴, 촛불, 성냥, 휴대용 라디오
  • 물티슈, 손세정제, 식초, 베이킹소다
  • 응급약품, 감기약, 밴드
  • 예비 담요, 핫팩, 여분 옷

마무리하며

장기 정전은 단순한 ‘불편함’ 그 이상을 준비해야 합니다. 하지만 두려워만 할 필요는 없어요. 지금 이렇게 상상하고, 시뮬레이션해보는 것만으로도 이미 절반은 준비된 셈이니까요.

이 글을 읽으신 오늘, 작은 가방 하나에 생수와 비상식량 몇 개만 넣는 것으로 시작해보세요. 그리고 가족들과 함께 ‘정전이 왔을 때’를 시뮬레이션하며 서로를 챙기는 연습도 해보세요. 결국 위기 속에서 우리를 지켜주는 건, 서로를 향한 다정한 마음이니까요.

 

반응형